감각의 과학(Sensory Science)/후각16 후각적 피로란 무엇인가?― 반복된 냄새에 둔감해지는 뇌의 반응 1. 왜 처음에는 강했던 냄새가 금세 사라지는가방에 들어섰을 때 처음에는 강하게 느껴지던 향수나 음식 냄새가 시간이 지나면 거의 느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은 누구나 경험해 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 냄새는 실제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여전히 공기 중에 존재한다. 이런 현상은 후각 적응(olfactory adaptation) 혹은 후각적 피로(olfactory fatigue)라고 불린다. 이는 뇌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같은 자극에 대해 점차 반응을 줄이는 생리적 현상이다. 후각은 매우 예민한 감각이지만, 동시에 불필요한 자극을 걸러내는 적응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생존에 중요한 냄새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자극이 계속되면 뇌는 ‘이 자극은 특별히 위험하거나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고 판단하고, 감각.. 2025. 7. 15. 후각은 수면 중에도 작동하는가?― 잠든 뇌는 냄새를 어떻게 감지할까? 1. 수면 중 감각 시스템은 모두 꺼지는가?사람이 잠드는 동안, 외부 세계와의 연결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뇌의 일부 감각 시스템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각은 수면 중에도 일정 수준의 자극을 감지할 수 있으며, 특정 소리에 따라 수면이 얕아지거나 깨어나기도 한다. 그렇다면 후각은 어떨까? 우리가 자고 있을 때도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수면 중 화재경보기나 가스 누출 시 반응 가능성, 냄새를 활용한 꿈 조절 연구, 수면 중 기억 강화 훈련과도 연결되어 있어 과학적 의미가 크다. 실제로 수면 동안 모든 감각이 ‘꺼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마다 다르게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후각은 시각과 달리 눈을 감는 행위로 차단되지 .. 2025. 6. 27. 후각은 시각보다 먼저 진화했다: 가장 오래된 감각의 비밀 1. 감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생명의 최초 신호 해석 장치생명이 최초로 바다에서 탄생했을 때, 생명체는 생존을 위해 반드시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해야 했다. 이때 가장 먼저 발달한 감각은 빛도 아니고 소리도 아니었다. 바로 화학적 자극을 구별하는 후각이었다. 후각은 눈처럼 복잡한 구조나 특정 파장을 요구하지 않고, 주변 환경에 떠다니는 분자들을 수용체가 감지하여 생화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생존 도구로 작용했다. 단세포 생물조차도 화학 농도 차이에 따라 방향을 바꾸거나 회피 반응을 보였고, 이 과정은 바로 화학 감각, 즉 후각의 기초로 간주된다. 후각은 외부에서 들어온 분자 정보를 직접 ‘내부의 변화’로 번역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뇌가 존재하기 전부터 .. 2025. 6. 24. 페로몬은 인간에게도 작용할까?― 후각과 사회적 행동의 은밀한 연결 1. 페로몬이란 무엇인가: 동물과 인간을 연결하는 화학적 신호페로몬(pheromone)은 같은 종(species) 내 개체들 사이의 행동이나 생리 반응을 유도하는 화학적 물질이다. 예를 들어, 개미는 페로몬으로 경로를 표시하고, 개와 고양이는 성적 반응이나 경계를 위해 페로몬을 방출한다. 이처럼 페로몬은 동물의 사회적 행동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작용한다. 동물들은 흔히 페로몬을 후각 기관의 일종인 보메로나잘 기관(Vomeronasal Organ, VNO)을 통해 감지하는데, 이 기관은 후각 신경과는 다른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 뇌의 감정 및 행동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생식기능, 모성 본능, 공격성, 군집성 같은 본능적 행동은 페로몬의 작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렇다면, 이런 .. 2025. 6. 18. 후각 수용체는 어떻게 개별 향기를 구별할까?― 감각의 과학에서 풀어보는 향기의 분류와 뇌의 해석 메커니즘 1. 인간의 후각 시스템: 단순하지만 정교한 구조후각은 인간의 감각 중에서 가장 오래된 진화적 유산으로, 매우 기본적인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단순한 구조는 놀랍도록 정교하게 작동한다. 사람의 코안에는 약 4~5cm² 크기의 후각 상피(olfactory epithelium)가 존재하며, 이 부위에는 약 4억 개의 후각 수용체 뉴런이 밀집되어 있다. 각 후각 수용체 뉴런은 특정한 단백질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수용체들은 각각 특정한 분자 구조나 화학적 특성을 지닌 향기 분자에 반응한다. 예를 들어, 레몬 향을 구성하는 리모넨(limonene) 분자는 특정한 모양과 전하 분포를 가지며, 이에 정확히 맞는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레몬'이라는 감각이 시작된다. 놀라운 점은, 인.. 2025. 6. 15. 향기 선호도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후각은 감정과 기억을 어떻게 향기로 엮어내는가 1. 향기 자극은 감각 중 가장 먼저 감정과 연결된다사람은 향기를 맡는 순간, 그것이 좋고 나쁨을 거의 즉각적으로 판단한다. 이는 시각이나 청각보다 훨씬 빠르며, 그 반응은 종종 이유조차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직관적이다. 그 이유는 후각 자극이 후각 수용체에서 곧바로 대뇌변연계(limbic system)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 영역은 감정(편도체)과 기억(해마)을 담당하는 부위로, 향기는 분석이나 인지보다 감정적 반응을 먼저 유도하는 감각 경로를 갖는다. 즉, 향기는 뇌에서 ‘판단’되기 이전에 이미 ‘느껴진다’. 이런 신경 회로의 구조 덕분에 향기는 감정을 강하게 일으키고, 그 감정이 기억과 연결되며, 특정 향기에 대한 선호도가 형성되는 토대가 마련된다. 우리가 어떤 향을 맡았을 때 즉시 호감 혹은 불.. 2025. 6. 12. 이전 1 2 3 다음